해외반응
(구)사회/문화 해외반응
HOME > 해외반응 > 사회/문화 해외반응
[WD] 상공에서 내려다 본 서울 강남 교차로, 해외반응
등록일 : 20-05-10 18:43  (조회 : 56,658) 글자확대/축소 확대 축소 | 프린트

서울도 세계에서 수위를 다투는 대도시죠. 
레딧 사이트에 서울 강남 교차로를 찍은 사진이 올라왔고 이에 대한 반응을 살펴보았습니다.


000.jpg

002.jpg




<댓글>

Bobo_Baggins03x
교차로를 보니 초조해지네.


jusmithfkme
서울의 운전자들은 미친 사람들이야.
 

schono·edited
나에게는 무정해보이네. 
수정 : 그런 의미로 얘기한 건 아니고, 서울에서 소울이 있다는 뜻이었어.


AboutHelpTools3
- 나도 내가 왜 인구밀도가 높은 곳의 넓은 길을 싫어하는지 모르겠어. 내 도시도 마찬가지야.


wimbs27
- 그래도 이건 고속도로의 훌륭한 대안이지.
 

GLADisme
- 그래, 사람들이 초대받기에 좋은 도시는 아니고 자동차로 이루어진 하수도 같네.
 

ColorfulPixels
- 뭐? 서울의 지하철 노선도를 보기나 했어? 난 서울에서 5년 넘게 살았고 차가 없어. 난 차 없이도 서울의 어떤 곳이든 갈 수 있어.
 

Halo4356 ·edited
- 속임수 같은데, 하지만 이걸로 “걸어서 생활이 가능한 도시”라는 걸 소리칠 필요는 없어. 이건 도시 전체가 나쁘거나 보행자가 다니기 나쁘다는 것이 아니라, 그냥 도시의 특정 부분이 산책하기 좋지 않다는 것이지.
 

ColorfulPixels
- 음, 나는 너가 보고있는 강남역이 보행자에게 친화적이라고 생각하지 않아. (파리처럼) 그러나 동시에 사람들은 이 곳에 산책하러 가지 않아. 명동에서 또는 강남역 위에 있는 신사역이나 압구정에서 산책을 해봐. 교통량이 많고 소음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퇴근 후 저녁을 먹기 위해 이런 곳들을 찾지. 강남역은 보행자가 가장 많은 지역 중 하나야. 그래서 강남역에서도 걷는 재미를 느낄 수 있어.
 

grinch337
- 한국의 도시들도 중국 도시들처럼 계획도시가 많아. 그래서 도시 내에서 이동하는 건 괜찮지만, 경계를 넘어갈 때는 걸어가기에는 힘들거야.

 

Flostyyy
- 길이 넓다는 건 그만큼 정체가 심하다는 거지. 길이 넓어야 많은 차를 한꺼번에 수용할 수 있으니까. 나는 서울이 훌륭한 대중교통 체계를 가지고 있다고 확신해. 굳이 차가 없어도 돌아다닐 수 있거든.


jameslucian 
- 교통이 혼잡한 지역을 어떻게 돌아다닐 수 있을까? 강남은 서울의 금융중심지이자 가장 번화한 도시구역 중 하나야. 그래, 많은 사람들이 대중 교통으로 이곳에 오지. 아침에 이 교차로를 통과하여 일을 시작하는 사람이 10,000 명이라고 가정해보자 (실제 숫자는 다르겠지만). 교통 흐름 개선을 위해서 차선이 더 있는 것이 좋지 않을까? 차선이 2개인 경우 10,000 명에 달하는 사람들이 더 긴 줄을 서야 될 거야. 논쟁하려는 건 아니고, 난 이런 방면의 전문가가 아니지만, 좁은 도로가 어떻게 교통혼잡을 완화시킬 수 있는지 이해가 되지 않아.
 

Flostyyy 
- 간단한 개념이야. 일단 나는 도시계획자가 아니라는 점을 말해둘게. 찾아보면 이런 거에 대한 정말 많은 연구가 있어!
이런 식으로 상상해봐. 도로가 더 좁으면 도로에서 더 적은 차가 다니므로 교통혼잡이 줄어들어. 그게 다야. 도로는 매일 통근하는 운전자가 선호하는 곳이 붐비기 마련이야. 문제는 단순히 도로를 확장하면 교통정체가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하는 거야. 그러나 결국에는 교통량이 여전히 어딘가로 가야하는데, 교차로가 하나뿐이면 더 많은 차가 더 많은 차선 위에 있을뿐이지.
내용이 짧은데, 더 큰 도로 = 더 많은 자동차가 이 도로를 통과하고 있다는 것도 반대급부도 성립해. 여전히 이해하기 어렵다면, 천만 명 이상의 도시에는 항상 수천 대 또는 수백만 대의 자동차가 통과한다는 것을 생각해봐. 자동차는 크고 사람들은 똑똑하지 않아서 도시 내에서 효율적으로 움직이지 못한다고 해보자.
처음에는 도로를 넓히려고 시도했어. 그런데 이걸로 충분하지 않아 고속도로가 필요해졌어. 또 충분하지 않아서 고속도로를 확장했어. 이제 휴스턴, LA 및 기타 도시와 같은 도시에서 있는 고속도로는 자동차로 미친듯이 붐비고 있어. 앞서 말했듯이, 자동차는 수백만이 사는 도시 지역에서는 지속가능하지 않아.


Uskog 
- 여기에 더하자면, 이런 개념은 교통유도라고 해.
 

GLADisme 
- 이 시나리오에서 10,000 명의 사람들이 여전히 교차로를 통과해야 하지만, 도로가 2차선으로 좁아지면 사람들은 대체 수단을 이용할거야.
여기서 넓은 도로를 만들면 사람들이 도로를 이용하여 교통 체증이 일어난다는 거야. 넓은 도로를 만들지 않으면 사람들은 목적지로 이동할 때 대체 교통 수단을 이용하게 되지. 두 시나리오 모두 사람들은 여행하지만 오직 전자에서만 교통 정체가 발생해.


Lokimonoxide
강남은 무정한 이미지에서 거리가 멀어. 이 교차로 뒤의 뒷골목은 모두 식당, 술집, 노래방 등이 있어. 정말 가슴뛰는 곳이지.


MasterFubar
- 강남은 무정한 이미지와 거리가 있어. 강남은 강남만의 느낌이 있어.


Lokimonoxide
- 하하하 맞아.


absoluteskeptic
지하에서도 많은 일들이 일어나고 있지.
 

NoireLumiere
아, 또 이런 대도시 다운타운에는 마음/문화/영혼이 없다는 사람들이 있네.


hei_luobo
- 그렇게 현대적이진 않고, 8차선 도로뿐이고, 나무도 없고 인간적인 느낌도 없어.
 

NotFlagstaff
- 현대적인 의미가 아니야. 차가 중심적이고, 생동적인 느낌이 없어보여.
 

pintossbm123
- 서울은 자동차 중심적인 도시가 아니야.
 

NotFlagstaff
- 그럴 수도 있지만 이 교차로는 매우 자동차 중심적인 걸.
 

bybaybae 
시간 : 퇴근시간 
도로 : 차로 붐비는 도로 
대부분의 사람들 : 지하철을 선호함 
레딧 유저 : 왜 도로에는 많은 차가 있는거지? 왜 사람들이 안 보이는거지? 왈왈왈
 

SADAMORA966
- 당연하지, 뭘 바라는거야? 이건 차가 다니기 위한 교차로라고.
 

NotFlagstaff·edited
- 8차선이기 때문에 문제인거야. 물론 차선 자체는 자동차 중심적일 수 밖에 없지만, 보행자용 보도와 건물이 차지하는 공간에 비해서 너무 많은 공간을 잡아먹는다는 게 자동차 중심적인거지. 이런건 이상적인 도시 환경은 아니야. 


BeardedGlass
- 공사가 많은 지역이잖아. 사진을 유심히 뜯어보기 시작하면 질서정연한 느낌이 사라져. 
 

soufatlantasanta
내가 생각하기로는, 아시아에 가본 적 없는 많은 서양의 도시 계획 제국주의 자들은 우리보다 얼마나 더 좋은 것들이 많은지 알지 못하며 “하, 하지만 자전거 도로는 어디 있는거야?”라는 멍청한 말밖에 모르지.
 

d-mac-
사람들이 길을 건널 수는 있어?
 

notwoutmyanalprobe
- 지하로 건널 수 있어. 지하철역이 있고 교차로의 각 구석에는 지하철 출구가 있어.
나는 몇 년 동안 거기에 살았고, 이 시스템을 잘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이 사진을 대부분의 사람들과 다르게 볼 수 있었어. 특히 한국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시간이 걸리지만, 일단 알고 있으면 특히 쉽게 휴대폰으로 쉽게 검색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이야. 다음 버스가 정류장에 도착할 때와 집에 정확히 언제 도착할 지 알 수 있어. 지하철은 정체를 줄이기 위해 특정 정류장에서 사람 수를 AI 및 CCTV 영상을 활용하여 속도를 계산하지. 정말 독창적이면서 질서가 잡혀 있어.
또 너희들이 보지 못하는 것은, 이 거리에는 수많은 노래방, 고깃집, 식당, 바, 나이트 클럽, 영화관 등이 있어. 나무와 공원이 거의 없으며 성형 수술과 미용 제품에 대한 광고가 많은 게 강남이야. 마치 뉴욕 타임스퀘어에 광고가 너무 많다고 하는 것과 같지. 이건 단지 도시의 한 부분일 뿐이야.
나는 서울을 많이 좋아하고 하이킹 등 많은 야외활동을 즐길 수 있었고, 한강을 따라 많은 사람들이 있었어.


grinch337
- 서울은 괜찮지만 과대평가된 것 같아. 산과 길은 큰 가산점이지.


mygamethreadaccount 
파란색과 주황색이 아름답게 켜졌다 꺼졌다 하고 있네.
 

dmthoth
그래. 서울 대도시 지역의 버스 노선은 색깔별로 구분되어 있지. 
빨간색(주황색), 파란색, 초록색, 노란색으로 장거리부터 근거리까지 구분되어 있어.
 

Big_Johnny 
넓은 고속도로가 마치 두바이 같네. 좀 진정성이 없어보이고 사람들이 서로 단절된 느낌이야.
 

dmthoth
이 도로는 1972년도에 만들어졌어. 자동차의 황금기 때지. 
그리고 이 도로는 현대 본사까지 이어져있어. 
서울 광역도시 지역에는 2천만명이 사는데 뭘 바라니?
 

FigureItOut50 
이 사진은 정말 도시로서의 서울을 잘 담고 있어.
 

erdpdk
자전거 도로가 안 보이네. 나에겐 지옥이군.
 

dmthoth 
- 자전거 경주를 할 게 아니면 굳이 서울에서 자전거를 탈 이유가 없지. 
이 지역 옆에는 100m나 되는 언덕이 있어. 말해봐, 
샌프란시스코에도 자전거 도로가 어디 있지? 에딘버러에는? 이스탄불에는?
 

argmax 
공공 공간이 부족해보이는데.
 

dmthoth
- 업무지구니까, 도심이 아니고.


argmax
- 그게 바로 많은 미국 도시들이 죽어버린 이유야. 도심이라 이름붙인 업무지구 때문에.


dmthoth·10 ·edited 10 
- 우선, 여긴 '구 도심'이 아니야. 서울 시청은 10km 정도 떨어져 있어. 
강남은 새롭게 개발된 도시 구역으로, 자동차가 유행하던 70년대에 만들어졌어. 
게다가 이건 '고속도로'가 아니고 이 도로 아래에는 지하 쇼핑몰과 지하철이 있어. 
사람들은 잘만 다니지. 서울에 인상적인 지하철 시스템이 있다는 건 알고 있니?


ShadyMcDavid 
도시지옥이군
 

JohnStamosBRAH
고속도로와 교통은 도시의 매력이 아니야
 

dmthoth 
- 그래서 미국 도시들이 고속도로로 가득한거지?
 

arungautam
작년 4월에 한국에 있었는데…지금은 모든 계획이 취소되었어ㅠㅠ



Flostyyy
- 그러면 너가 생각하기에 너가 살기 좋은 콘크리트와 녹지 비율이 얼만데?


JVanDyne 
- 자막 잘못 달았어, 친구야



Flostyyy
- 훌륭한 경치네! 도시 외부에 사는 것도 좋은 점이 많지만 
굳이 그렇게 살려고 돈을 많이 쓸 필요는 없어. 
나는 아름다운 시골지역에 있지만, 
인구밀도가 빽빽한 도시 가까이 사는 것도 좋지. 다 각자의 매력이 있는거야.



번역기자:번역머신JK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어떠한 형태로든 가생이닷컴 모든 번역물의 2차 가공,편집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노골적인 인종차별성 댓글 및 부적절한 글은 통보없이 삭제 합니다.(또는 댓글 금지조치)
-운영팀-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Creative Commons License
번역기자 : 번역머신JK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배신자 20-05-10 18:44
   
잘 봤습니다.
Kyle 20-05-10 18:45
   
멋지구만유~ ㅎ 잘봤어요!~
일빵빵 20-05-10 18:49
   
잘봤습니다
북두구진 20-05-10 19:17
   
한국 왔다간 외국인들이 겁나 많은가 봄.

강남역 뒤에 뭐가 있는지를 잘도 아는 외국인들부터 한국의 지하철 운행에 있어서 어떻게 유동인구를 파악해서 속도를 조절하는지까지 아는 외국인들을 볼 수 있는 것 보면.,.,.
     
일본인싫다 20-05-10 21:09
   
저거 한국인들임 ㅋㅋㅋ 레딧에 한국인 엄청 많음
나도 요즘 크보때매 레딧에서 외국인들이랑 싸우는중
찌루찌루 20-05-10 19:21
   
사진 한장만 보고 이러쿵저러쿵 다른 면을 얘기하고자 하는 사람의 의견은 역시 너무 피상적이네요.
직접 가서 겪어본 사람하고는 확실히 달라요.
바두기 20-05-10 19:22
   
잘봤습니다.
움직움찔 20-05-10 19:26
   
서울 전체가 저런 거리를 가지고 있는 것도 아닌데... 사진 하나로 너무 많은것을 판단하려하네요
감독 20-05-10 19:28
   
잘 봤어요
JTBC손석희 20-05-10 19:34
   
후진국들의 비아냥,질투어린 시선들이 많은거 같군요;

인종차별 할 수 없으니.. 저렇게라도 하나 봅니다.

자신들이 더 잘 살고 있다고 착각하고 있으니..

못한 나라들 이라고 생각하는나라들은

뭔가 비정상 적으로 보일지도..

부산에 살고있는데 충분히 좋아보입니다. 산책로는 산책하는곳에 가면 되는것이고.

저런 환경이 현저의 한국을 지금까지의 나라로 발전시켰다고 봅니다.
     
retinadisplay 20-05-10 20:39
   
무조건 후진국이라 보긴 힘들것같습니다. 오히려 오래된 도시를 가진 선진국의 반응에 가까운 것 같네요.
강남같이 새로 지어진 도시에 익숙하지 못한거겠죠.
Durden 20-05-10 19:34
   
그놈의 자전거도로 타령은ㅋㅋ
비이콘 20-05-10 19:43
   
잘봤습니다.
sunnylee 20-05-10 19:48
   
잘 봤어요
허까까 20-05-10 20:05
   
쟤들 강남 유동인구는 알고 하는 소리인가? 저기에 지하철까지 사방팔방 뚤린 상황에서도 매번 교통 헬인데 그럼 다른 방안 있는지? 지들 얘기 아니라고 너무 쉽게 말하네
황룡 20-05-10 20:10
   
잘봤습니다~!@@!
골드에그 20-05-10 20:12
   
잘봤습니다.
미스트 20-05-10 20:17
   
저 정도 경치는 다른 나라 수도에 가면 흔하지 않나요?
왜 유독 우리나라만 저런 것 같은 감상을 피력하고 있지? 무정하니 어쩌니 하면서..
     
PONPURA 20-05-10 21:20
   
무식한 돌대가리라서 그래요.
스핏파이어 20-05-10 21:03
   
잘 봤습니다.
가출한술래 20-05-10 21:13
   
잘봤습니다
새콤한농약 20-05-10 21:20
   
잘봤습니다.
winston 20-05-10 22:26
   
머찌기만 하구만
여긴어디지 20-05-10 22:33
   
조만간 저 빌딩에 빨간색의 직사각형에 곡괭이와 별 모양이

들어간 무언가가 펄러일듯
구르미그린 20-05-10 22:43
   
일부 서양인들이 한국에서
넓은 자동차 도로 + 고층빌딩 숲 + 대형쇼핑몰 풍경보다 낮은 건물 + 골목 + 재래시장 풍경에 더 감흥을 느끼는 이유로는
개인 취향, 오리엔탈리즘 등도 있겠지만, 도시설계사상의 영향도 있을 겁니다.

산업혁명 + 대도시화로 환경오염 + 열약한 주거환경 등의 문제가 불거지자 도시계획가 르코르뷔지에는 구불구불한 좁은 도로가 많은 파리를 밀고
도심엔 초고층빌딩 숲 + 공원 + 쭉 뻗은 자동차 대로 + 복합쇼핑시설, 외곽엔 빌라/전원주택이 있고, 상업지구/주거지구/공공지구가 딱딱 나눠진 도시로 재개발하는 안을 제안했습니다.
미국은 그런 쪽으로 도시를 설계했습니다. 20세기에 설계한 강남, 여의도, 목동, 1기 신도시는 르코르뷔지에/미국 모델에 가깝고, 서울 자동차 등록대수가 10만대 미만이던 시기에 경부고속도로, 강남대로를 만들었습니다.
구르미그린 20-05-10 22:43
   
20세기 후반 제인 제이콥스는 "넒은 자동차 도로로 도시 곳곳이 절단되어 사람들이 걷기 힘든, 자동차 위주의 미국 도시는 생기가 없고 비인간적이다. 도로가 좁고 보행자 위주인 유럽 도시 형태가 도시가 나갈 방향"이라 주장했고,
21세기 트렌드는 양쪽이 섞인, "고밀도 도심개발 + 높은 녹지 비율 + 자동차 사용 억제 + 인간 위주의 도시"입니다.
2, 3기 신도시와 2030서울도시기본계획은 그것을 일부 반영하고 있습니다.

이 트렌드는 당초 의도와 다르게 "집값 폭등 + 양극화 => 저소득층이 살기 힘들어지는 도시"란 현상을 낳습니다.
20년간 떨어졌던 일본 집값이 2010년대 이후 상승추세인 이유 + 1기 신도시가 10년간 집값 안정에 기여했으나 이후 신도시는 그러지 못하는 원인 중 하나로 이런 도시 트렌드를 드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원형 20-05-12 02:45
   
뭔 헛소리야. 읽고나면 쓴사람이 어떤 사람인지 알게 되는데
글에서 주장하는 1기 신도시부터 폭등하기 시작했는데 뭔 헛소리야.
버벅이010 20-05-10 23:27
   
좋은글입니다
자기자신 20-05-11 00:23
   
잘 봤네요
connie 20-05-11 00:49
   
잘 읽었습니다~~
나비야나비 20-05-11 01:25
   
이런 대도시를 매력을 못느껴하는건
전세계적으로 그렇더라구요.
한국인들도 유럽 구도시를 좋아하지
대도시를 볼거없다고하죠.
개인적으로는 오래 머물면 대도시도 매력적이라고 생각하지만
보통 삭막하다 개성없다 등의 편견이 있음
에쎄원 20-05-11 01:30
   
잘 봤습니다
잔잔한파도 20-05-11 01:34
   
잘 봤습니다
totos 20-05-11 01:52
   
저건 대체 언제적 사진이야 ㅠㅜ
한참 지하철 공사할적인데...
폭발1초전 20-05-11 08:47
   
옛말에 서울 안 가본  놈이 가본 놈 이긴다고 하더니...
관측 20-05-11 10:38
   
번역감사합니다
carlitos36 20-05-11 11:45
   
잘봤습니다
블랙커피 20-05-11 12:57
   
하여간 한국이나 외국이나 어딜가든 불편러들은 있구나
걔들은 숲이 아니라 나뭇가지 하나로 트집잡으며 자기가 말하는게 무조건 옳다고 생각하지
아리온 20-05-12 09:24
   
잘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