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23-03-18 13:14
[한국사] 秥蟬平山君神祠碑(점선평산군신사비)
 글쓴이 : 하이시윤
조회 : 910  

이 비는 앞에서 소위 낙랑토성의 동북 150m 지점에서 발견되었는데 비문의 첫머리를 보면 “*和二年 四月戊午(*화2년 4월무오), 秥蟬長渤興(점선장발흥)” 으로 시작된다. 그런데 서한과 동한시대에 長(장)은 縣(현)을 다스리던 관리였으므로 이 비는 점선현의 장이 세웠을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한서 지리지를 보면 서한시대의 낙랑군에는 秥蟬縣(점선현)이 있었고 후한서 군국지에 의하면 동한시대의 낙랑군에는 占蟬縣(점선현)이 있었다. 이로보아 서한의 점선현의 한자표기가 동한시대에는 달라짐을 알수 잇는데, 黏. 占. 秥이 당시에는 통용되었기 때문에 비문에서는 秥蟬로 기록되었을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비문에 나오는 점선은 서한시대 낙랑군의 黏蟬縣을 말하며 이 비가 서있는 지역이 바로 黏蟬縣 지역일 것으로 인식하였다.

이에대해 정인보는 점선장이 자신의 관할지역 비를 세울 경우에는 자신의 직명을 새겨 넣지 않는것이 한시대의 비문 양식이라고 말하면서 비문에 점선장 이라고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이 비가 서 있는 지역이 점선이 아님을 알수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그것이 크게 반향을 불러 일으키지 못하였다. 비문의 양식이 언제나 일치하였을 것으로는 볼 수 없기대문에 정씨의 주장이 설득력을 지니고 있다고 볼수 없지만 참고할 가치는 있다고 생각된다

이 비에 대해 두가지 문제점을 지적해 두고자 한다.  첫째는 이비가 세워진 연대이다. 비문의 첫 자는 마손이 심해 판독이 불가능하고, 둘째자는 和(화), 셋째자는 二(이)와 비슷 하였다고 한다 그러데 和字가 들어간 중국의 연호는 元和(원화), 章和(장화), 永和(영화), 光和(광화), 太和(태화) 등이 있는데 元和가 가장 빠른 연대이다. 元和는 東漢 章帝의 연호로서 그 원화2년은 서기 85년이다. 따라서 비문의 연호를 가장 빠른 것으로 계산하더라도 이 비는 동한시대의 것이 된다. 다시말하면 한사군의 설치연대 보다는 훨씬 늦은 것이다 .

둘째로 黏. 占. 秥이 음이 같다고 해서 동일한 의미로 볼수가 있을 것인가 하는 점이다. 음이 같으면서도 다른 문자를 굳이 사용한 것은 서로 구별할 이유가 있었을 것으로 필자는 생각한다. 음이 동일한 다른 지명이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 비는 아무리 빨라야 동한시대 유물이고 이는 후한광무제가 서기 40년에 이 지역을 공략하여 만든 낙랑속현의 장이 그 이후 언젠가 세운 것으로 생각된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5,29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052 [한국사] 왕광묘와 왕간묘에서 출토된 印章(인장) 하이시윤 03-18 1006
5051 [한국사] “夫租薉君(부조예군)”, “夫租長(부조장)”등의 銀… 하이시윤 03-18 984
5050 [한국사] 孝文廟銅鐘(효문묘동종) 하이시윤 03-18 880
5049 [한국사] 秥蟬平山君神祠碑(점선평산군신사비) 하이시윤 03-18 911
5048 [한국사] 춘추 전국 진 서한시대 요수의 위치 (6) 하이시윤 03-14 1283
5047 [한국사] 위만정권ㅡ한 전쟁 당시 발해의 위치 (3) 하이시윤 03-14 1244
5046 [한국사] 후흐호트 방언 위구르 03-11 1177
5045 [한국사] [영상] 복기대교수가 임둔태수장 관련 논문을 쓴 이… (1) 하이시윤 03-04 1253
5044 [한국사] [블로그]임둔태수장 관련 블로그소개 (2) 하이시윤 03-04 1087
5043 [한국사] [논문소개]복기대교수의 임둔태수장에 관한 논문 결… (1) 하이시윤 03-04 1000
5042 [한국사] 윤내현교수 (4) 하이시윤 03-03 1045
5041 [한국사] 김정민이는 애초에 역사학 논문하나없이 (4) 하이시윤 03-03 1080
5040 [한국사] 사이비역사학자 김정민 (15) 하이시윤 03-03 1335
5039 [한국사] 김정민 박사, 책보고와 인터뷰 ㅣ한국사의 혁명 2인 (13) 파스크란 02-23 2076
5038 [한국사] 파스크란님의 글이 역사학 글이 안되는 이유 (27) 하이시윤 02-20 1146
5037 [한국사] 운남 대리국이 후백제였다 (2) 파스크란 02-20 1557
5036 [한국사] 등주(登州),청주(靑州)만 찾아도 고려의 산동 강역을 … (15) 파스크란 02-20 1425
5035 [한국사] 역사관련 자료를 찾을때 유용한 사이트 모음 (4) 파스크란 02-19 1030
5034 [한국사] 축의 시대 (2) 하이시윤 02-19 944
5033 [한국사] 고구려인의 재산목록 1호는 수레였다 (1) 하이시윤 02-19 1031
5032 [한국사] 강소성 양주 고려 왕성과 그 영토 (3) 파스크란 02-19 989
5031 [한국사] 송나라 고지도에 나타난 고려 서북계 (1) 하이시윤 02-19 1118
5030 [한국사] 유사사학의 신종 수법 (44) 위구르 02-19 961
5029 [한국사] "환빠" vs 기존주류학계 이라는 대립구도의 문제점 (49) 하이시윤 02-18 994
5028 [한국사] 한국사=한민족사 (10) 하이시윤 02-18 797
5027 [한국사] 세계4대평원 중 하나인 만주의 동북평원을 기반으로 … 하이시윤 02-18 992
5026 [한국사] 고려 태조의 본명 왕봉규, 그는 신라천주절도사였다 (97) 파스크란 01-19 3744
 1  2  3  4  5  6  7  8  9  10  >